본문 바로가기

일상

마른나무 흰개미로 난리난 인터넷 커뮤니티와 서울

반응형

얼마 전에 인터넷 커뮤니티에 난리가 났었던 사건이 있습니다.
이상한 벌레가 집에 수십 마리 나타났던 사건이었는데요. 정체는 마른나무 흰개미라고 하는 외래종 해충입니다[1].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해충과 흰개미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해둔 자료가 있어서 아래와 같이 서술합니다[2].

해충이란 개념은 '식물을 섭식하는 동물(곤충)'이라고 합니다. 흰개미는 나무를 먹으니 해충이 맞네요.

흰개미는 이름에 개미가 들어가서 개미와 친척인가 싶지만, 개미와의 연관이 멀고 바퀴벌레, 사마귀에 가깝습니다.
(흰개미목(目)에서 바퀴목(Dictyoptera), 흰개미아목(Isoptera)으로 분류)

1980년 기준, 흰개미는 세계적으로 7과 311속 2,900여 종이 분포 열대·아열대 지역에 많이 분포하며,
흰개미속(Reticulitermes sp.)만 우리나라를 포함한 온대 지역에 분포합니다.
(아프리카 1,000~2,600종, 남미 400종, 중국 476종, 50종,  유럽 10종)

국가별로 피해액은 북미 매년 수 조원 이상, 유럽이 7천억 이상, 일본은 8,000억~1조, 호주는 7,500억 이상,
태국이 5,000억 이상으로 피해를 입는다고 합니다.

문화재청에서 목재건물에 대한 흰개미 피해 때문에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16개 장소 231개 건축물 중 총 78동(34%)이 흰개미에 의한 타격을 입었고 18동(8%)의 피해가 진행 중에 있다고 하네요.

국내에선 검역을 통해 지금까지 약 12개국 63건, 13종이 보고되었고,
수입 품목별로 보면 목재류가 39건(62%), 기타 건조 농산물이 19건(30%), 재식용은 5건(8%) 정도입니다. 
국가별로 보면 동남아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가 가장 많고 중국, 대만, 호주 순으로 검역을 통해 발견되었습니다.

우리나라도 최근 목조 주택이 늘어나고 기온이 높아지면서 세계적으로 가장 피해를 주고 있는 대만지하흰개미( Coptotermes formosanus) 류의 흰개미들이 침입하거나 정착할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흰개미는 건조에 약해서 땅속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건물을 지을 때 땅과 직접 접하는 부분에 목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방충 처리한 목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피해가 적습니다.

또한 다른 나라에서 온 건조에 강한 흰개미들이 들어올 수 없도록 철저히 검역을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 이 녀석들이 문제군요.

 

이번에 큰 이슈가 됐던 것이 마지막 줄에 나와있네요. 건조에 강한 흰개미.

투데이신문 기사에 따르면 부산대 생명환경화학과 박현철 교수가 "학명은 칼로터미티드(Kalotermitidae)과 크립토털미스(Cryptocerus)속”이라고 합니다. 마른나무 흰개미는 공식명칭이 아니랍니다. 또한 아래와 같은 의견이 있었는데요[3][4].

“어떤 경로로 국내에 유입됐을지는 좀 더 규명을 해봐야 알겠지만
흰개미가 날개를 달고 비행하는 시점은 서식처를 만든 후 5~10년 사이


“이미 토착화됐을 가능성이 있다”

 “(흰개미는) 일반 곤충처럼 바깥에서 활동하지 않고 전부 숨어 살기 때문에 방제 방법은 분명히 달라야 하고 또 굉장히 복잡하다”며 “밖에 나온 개체가 3%라면 숨어있는 개체가 97%라 서식지 파악이 최우선과제”

 

저런... 곤충갤러리에서 난리 났던 이유가 있네요. 이번 사태가 더 큰 문제가 된 것은 소도시가 아닌 서울 한복판, 강남구 논현동에서 처음 발견돼서 더 큰 난리가 났다고 합니다.

처음 발견한 분의 집 문짝에 서식하고 있었는데, 여기만 있었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철저한 역학조사와 방제준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반응형

위키백과를 더 찾아봤습니다. 아래는 구글 기계번역입니다.

Kalotermitidae는 다른 흰개미 종과는 달리 그들은 흙과 접촉할 필요가 없으며  정교한 둥지 구조가 결여된 나무를 파낸 곳에서만 삽니다.

마른나무 흰개미는 물을 보존하기 위한 적응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오랜 기간 동안 건조한 조건을 견딜 수 있으며 그들이 살고 소비하는 나무에서 필요한 모든 수분을 받습니다. 

 

음... 정리를 해볼까요?

1. 흰개미는 나무를 먹는 해충이다. 그중 건조한 나무를 먹는 놈들이 가장 골치 아프다.

2. 국내에서 서식하는 흰개미는 건조에 약해서 땅을 통해 이동하며, 건조한 나무에선 살지 못한다.

3.  서울 한복판에 가장 골치 아픈 흰개미를 발견했는데, 토착화된 것 같다.

 

아! 소설 마션의 첫 문구가 생각나네요.

 

오늘은 끝.

 

 

인용 : 

[1] 난리난 곤충 갤러리.jpg :: 웃긴대학 웃긴자료 (humoruniv.com) (원본 글은 삭제됐답니다, 디시인사이드 곤충갤러리, 2023.5.17)

[2] 농림축산검역본부, 재미있는 식물병해충 이야기, 2021.4 (NAVER 학술정보 > (재미있는) 식물병해충 이야기)

[3] 강남 출몰한 외래 흰개미, 보이는 건 3% 뿐...당국 조사 착수 < 이슈추적 < 사회일반 < 사회 < 기사본문 - 투데이신문 (ntoday.co.kr) , 2023.5.22

[4] [사회]마른나무흰개미, 보이는 건 1% 뿐? 합동 역학조사 시작 | YTN , 2023.5.22

[5] https://en.wikipedia.org/wiki/Kalotermitidae

반응형